건기대여업계의 미래가 불투명하다. 경제불황으로 사업수익이 줄고 있지만, 정치권의 업계관련 정책이나 입법 등은 난망이다. 설상가상으로 건설산업 내 타 업역의 갑질까지 겹쳐 시련의 계절을 맞고 있다. 건사협이 하나 되고, 좀 크게는 대여업계의 단결을 이뤄 생존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처지다.
건기대여업계의 사업수익은 날로 악화하고 있다. 전국 도·시·군에서 올라오는 이야기들을 종합해보면 예년에 비해 일감이 줄고 있다는 하소연이 다수다. 실제, 건기대여업계 대출을 담당하는 2금융권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사업자의 대출상환 연체율이 늘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19 여파와 국제경기의 침체(또는 경제위기)에 따라 자영업자의 생존이 어렵다는 건 잘 알려진 얘기지만, 건기대여업계가 대출금 상환을 제때 못해 연체율이 높아가고 있다는 건 충격이다. 사업수익이 줄고 있는데, 대출이자까지 오르니 위기가 아닐 수 없다.
건설산업의 주춧돌이라 할 수 있는 건기대여업이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지만 이를 보호해야 할 정부와 국회의 노력은 거의 안 보인다. 건기 무상수리 보증기간을 확대하자는 주문은 국회 입법조사처의 ‘타당’ 권고에도 진척이 없다. 체불신고센터 확대, 전문인력 육성 요구도 묵묵부답.
대여업계가 지난 20여년 요구하고 관철한 건기 수급조절도 중대 고비를 맞고 있다. 규제 타당성을 재검토하자는 이야기가 들린다. 신규 사업자 진입을 일부 허용하려는 움직임이 아닌지 건기대여업계는 의심하고 있다. 수급조절이 가장 시급하다는 굴착기는 여전히 빠져 있는 상태다.
이런 와중에 정부·여당의 노조 불법행위를 근절하겠다는 정책이 변질해 건기대여업계를 옥죄고 있다. 당국이 애초 취지를 잊은 건지 아니면 의도한 건지 모르지만 건기대여업계, 특히 건사협을 노조와 동일시하고 이들의 활동을 짓누르는 입법안과 정책을 내놔 아연실색케 한다.
정부·여당의 건사협을 향한 이른바 ‘백안시’는 전문건설업계의 욕심과 주문에서 비롯된 것임을 안다. 건설기계를 임차하는 ‘갑’으로서 ‘을’의 요구를 무시하고 ‘을들의 연대’를 무력화하려는 속셈이 있었을 테니까. 협회 주도에 회원사들이 고소고발을 조직화한 것도 드러났다.
건기대여업계는 사면초가다. 정치권의 보호 정책도, 이웃 업역인 전문건설업계와 협력도 기대하기 어려운 처지다. 스스로 살아남아야 한다. 건사협이 먼저 뭉쳐야 한다. 다음 건기대여업계가 공동이익을 찾아 협력해야 한다. 금석위개(金石爲開)란 말이 있다. 혼신으로 화살을 쏘면 쇠와 바위도 뚫는다는 말이다.
<저작권자 ⓒ 건설기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